3. HIKING(등산)/* (H·K)江源圈

[강원 영월]조망이 시원한 눈쌓인 백덕산 탐방

마하칼라 2011. 12. 27. 19:49

 

 

 

백덕산(강원 영월,평창)에서 담아 온 아름다운 풍광

 

* 언제 : 2011. 12. 27.(화), 휴가

* 누구와 : 옆지기와 서울가고파산악회 따라서

* 날씨 : 맑음, 영하의 차거운 느낌을 받았으나 산행하기 좋은 기온

* 코스 : 문재터널~문재쉼터~당재~작은당재~1275봉~백덕산(1,350m)~1275봉~먹골재~먹골 

 

↓ 문재터널앞 백덕산 들머리

↓ 문재터널앞 문재쉼터 표지석

↓ 문재터널옆 백덕산 들머리

 

 

 

 

 

 

 

 

↓ 백덕산 오르면서 바라본 가리왕산 (가운데)

 

 

↓ 이정표

 

 

↓ 백덕산 정상

↓ 영월군 수주면 백린계곡 

↓ 백덕산 정상

↓ 정상오르면서 잡은 조망

 

↓ 이정표

↓ 정상을 향해

↓ 1275봉앞 이정표

↓ N자 참나무

 

↓ 백덕산 정상

 

 

 

 

 

↓ 정상에서

↓ 정상에서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백덕산 정상에서 본 가리왕산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

↓ 정상조망(치악산)

 

↓ 고드름

↓ 하산하면서 뒤돌아 본 백덕산 정상

↓ 등로

↓ 하산

↓ 등로

↓ 전나무숲

↓ 이정표

↓ 폭설로 뿌러진 소나무

↓ 등로

↓ 등산로 안내도

↓ 가격폭락으로 수확포기한 배추밭(평창군 방림면 운교1리)

↓ 도착지 산행버스

 

 ♣ 백덕산 특징

 

높 이 : 백덕산 [白德山] 1.350m

위 치 :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평창군 평창읍

 

 

특징·볼거리

강원도 치악산 동쪽편 횡성, 평창, 영월등 3개 군의 경계를 이루는 백덕산은 산줄기가 자못 육중하고 골이 깊어 해발1000m의 고산다운 산세를 지니고 있으며 정상은 바위봉으로 이뤄져 있다.

사자산과 백덕산은 불과 4km 남짓한 능선에 함께 있으므로 모두 백덕산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백덕산 북서쪽 산줄기 3km지점에 위치한 사자산은 원래 산밑의 법흥사가 신라 구라선문의 하나인 사자산파의 본산이었던 관계로 유래된 것으로 보는데,

불가에서는 백덕산을 사자산이라 지칭하므로 현재 지형도상에 표기된 사자산의 위치도 불확실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백덕산은 가을의 단풍과 겨울의 설경이 극치를 이룬다.

능선 곳곳에 단애를 이룬 기암괴석과 송림이 어울려 있을 뿐만 아니라 법흥사를 거쳐 올라가는 주계곡 쪽에는 태고적 원시림이 그대로 보존돼 있어 가을 단풍이 장관을 이룬다.

 

또 그 사이를 따라 난 계곡길엔 크고 작은 폭포와 소, 담이 수없이 이어진다.

사람들의 발길이 그리 닿지 않은 산이라 가을정취에 흠뻑 빠지게 한다.

겨울엔 적설량이 많아 온 산이 눈꽃으로 뒤덮인다.

 

백덕산 정상은 두개의 암봉이 우뚝솟은 협소한 쌍봉으로 이뤄져 있다.

올라온 계곡길이 손바닥 보듯 휜히 들여다 보인다.

백덕산에는 5대 적멸보궁인 법흥사가 있다.

전국에는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셔놓은 사찰이 많다.

그중 불상을 모시지 않고 법당만 있는 불전을 "적멸보궁"이라 부른다. 적멸보궁은 "온갖 번뇌망상이 적멸한 보배로운 궁"이라는 뜻이다.

 

적멸보궁이 있는 곳은 설악산 봉정암, 함백산 정암사, 사자산 법흥사, 취서산 통도사, 오대산 상원사 등이다.

5대 적멸보궁은 통일신라시대때 고승들이 인도에서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셔와 봉안한 곳이다.

 

 

 산림청 100명산 선정사유

  o 사자산(1120m), 사갓봉(1020m), 솟때봉(884m) 등이 솟아 있어 산세가 웅장하고 골이 깊은 등 경관이 좋으며,

    평창강(平昌江)과 주천강(酒泉江)의 수계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o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법흥사(法興寺)와 경내에 있는 보물 제613호로 지정된 징효대사보인탑이 유명

 

 ♣ 백덕산 탐방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