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댐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에 있는 댐으로 북한 임남댐(금강산댐)의 수공을 방어하는 대응 댐으로 계획되어 1987년2월에 기공하여 1989년 2월 1단계 공사 준공에 이어 2002년 9월부터 2006년 6월까지 2단계 증축공사를 하였으며,
2012년 1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3단계 증축공사로 최종 준공하였다.
평시에는 물을 가두지 않는 건류댐으로 운영되고 있다. 댐위로는 지방도 제460호선이 지나간다.
3차 완공후의 현재 길이 601m, 높이는 125m이며 최대저수량은 26억 3천만t 이다.
댐 상류, 오른쪽 하단 콘크리트 구조물은 배수터널 유입부(4개) 이다.
댐 하류
댐 하류
댐 하류
평화의 댐 표지석
세계평화의 종은 각국 분쟁지역에서 수집된 탄피들을 모아 만든 종으로, 평화, 생명, 기원의 의미를 담고있습니다.
댐 상류쪽, 수량은 바닥에만 조금있고 대부분 텅 비어 놓아 북한의 임남댐(금강산댐) 방류에 대비하고 있다.
댐의 현황
댐 조감도
평화의 댐 건설과정에서 제5공화국 정권이 북한의 수공 위협을 과장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는 정황이 제13대 국가안전기획부장 장세동의 증언과 감사원 조사 등을 통해 밝혀졌다.
이때문에 제6공화국 이후 대국민 사기극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대국민 사기극이었다는 비판과는 별개로, 건설된 평화의 댐은 홍수조절전용댐으로써 역할은 톡톡히 해내고 있다.
평화의 댐 저수량 26억 3천만톤은 북한의 금강산댐의 저수량보다 1천만 톤이 더 많으며, 소양강 댐(29억t), 충주댐(27.5억t)에 이어 셋째로 많은 저수량이며, 댐의 높이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높다.
위치도
'2. TOUR(여행 및 출사) > # (T·U)江原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끼계곡(영월 상동) (0) | 2022.06.06 |
---|---|
청태산 야생화 (0) | 2022.04.22 |
2021. 5. 5. 화천읍, 비수구미 (0) | 2021.05.14 |
[평창군]양떼목장 (0) | 2019.10.15 |
[인제군]방태산 2단폭포 (0) |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