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TOUR(여행 및 출사)/# (T·U)慶尙道

[경북 김천]손가락으로 절터를 잿다해서 유래된 직지사

마하칼라 2015. 10. 24. 13:57

 

 

 

 

 

 

 

직지사

 

 

2015. 10. 23.(금)

 

 

광진문화원 사진반 회원들과 함께

(우포늪 촬영후 귀경길 들림)

 

 

 

 

 

 

가을

 

 

 

 

 

 

 

 

 

 

 

 

 

 

단풍

 

 

 

 

 

 

 

 

 

 

 

 

 

 

 

 

 

 

 

 

 

 

 

 

 

 

 

 

 

 

 

 

 

 

 

낙옆

 

 

 

 

 

 

 

 

 

 

 

 

 

 

 

 

 

직지사

 

 

무과

 

 

 

 

 

 

 

 

 

 

 

 삼층석탑 안내판(사진 클릭 시 크게 보임)

 

 

구미 경락사지에서 옮겨 온 삼층석탑

 

 

 

 

 

대웅전

 

 

문경 도천사지에서 옮겨 온 삼층석탑 안내판(사진 클릭 시 크게 보임

 

 

 

문경 도천사지에서 옮겨 온 동서 삼층석탑(보물 606호)

 

 

직지사 단풍

 

 

 

 

 

 

 

 

 

 

 

 

 

 

 

 

 

직지사 [直指寺]

 

고구려의 아도()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 사적비()가 허물어져 확실한 것은 알 수 없고, 418년(눌지왕 2)에 묵호자()가 경북 구미시에 있는 도리사()와 함께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 후 645년(선덕여왕 14)에 자장()이, 930년(경순왕 4)에는 천묵()이 중수하고, 936년(태조 19)에 능여()가 고려 태조의 도움을 받아 중건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불에 거의 타버려 1610년(광해군 2)에 복구에 들어가 60여 년 후 작업을 끝맺었다.

직지사라는 절 이름은 능여절터를 잴 때 자를 쓰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데서 붙여졌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학조()가 주지로 있었고, 유정()이 여기서 승려가 되었다.

경내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319), 대웅전 앞 3층석탑(보물 606), 비로전 앞 3층석탑(보물 607), 대웅전 삼존불 탱화 3폭(보물 670), 청풍료() 앞 3층석탑(보물 1186) 등의 문화재가 있다.

 

 

위치도